본문 바로가기

필기53

042 스택의 삽입 ( Push ) 과 삭제 ( Pop ) 삽입 ( Push ) Top = Top + 1 If Top > M Then Overflow Else X(Top) ← Item 스택 포인터(Top)를 1 증가시킨다. 스택 포인터가 스택의 크기보다 크면 Overflow 그렇지 않으면 Item이 가지고 있는 값을 스택의 Top 위치에 삽입한다. M : 스택의 크기 Top : 스택 포인터 X : 스택의 이름 Overflow : 스택으로 할당받은 메모리 부분의 마지막 주소가 M번지라고 할 때, Top Pointer의 값이 M보다 커지면 스택의 모든 기억장소가 꽉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더 이상 자료를 삽입할 수 없어 Overflow를 발생시킴 삭제 ( Pop ) If Top = 0 Then Underflow Else Item ← X(Top) Top = Top -.. 2021. 5. 22.
041 스택 ( Stack ) 스택 ( Stack )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료 구조이다. 가장 나중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후입 선출 ( LIFO : Last-In, First-Out ) 방식으로 자료를 처리한다. TOP : Stack으로 할당된 기억공간에 가장 마지막으로 삽입된 자료가 기억된 위치를 가리키는 요소, 스택 포인터라고도 함 Bottom : 스택의 가장 밑바닥임 Stack의 용도 부 프로그램 호출 시 복귀주소를 저장할 때 함수 호출의 순서 제어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복귀주소를 저장할 때 후위 표기법( Postfix Notation )으로 표현된 산술식을 연산할 때 0 주소지정방식 명령어의 자료 저장소 재귀( Recursive ) 프로그램의 순서 제어 컴파일러를 이용한 언.. 2021. 5. 22.
040 연결 리스트 ( Linked List ) 연결 리스트 ( Linked List ) 연결 리스트는 자료들을 임의의 기억공간에 기억시키되, 자료 항목의 순서에 따라 노드의 포인터 부분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 자료 구조이다. 노드의 삽입, 삭제 작업이 용이하다. 기억 공간이 연속적으로 놓여 있지 않아도 저장이 가능하다. 연결을 위한 링크(포인터) 부분이 필요하기 때문에 순차 리스트에 비해 기억 공간의 이용 효율이 좋지 않다. 접근 속도가 느리다. 희소 행렬을 링크드 리스트로 표현하면 기억 장소가 절약된다. 트리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 ※ 희소 행렬 ( Sparse Matrix ) : 행렬의 요소 중 많은 항들이 0으로 되어 있는 형태로, 기억장소를 절약하기 위해 링크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저장합니다. 길벗알앤디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정보.. 2021. 5. 22.
039 자료 구조의 분류 자료 구조의 분류 선형 구조 선형 리스트(Linear List, 배열), 연결 리스트(Linked List), 스택(Stack), 큐(Queue), 데크(Deque) 비선형 구조 트리(Tree), 그래프(Graph) 선형 구조 : 자료를 구성하는 원소들을 순차적으로 나열시킨 형태 비선형 구조 : 일렬로 나열하기 힘들고 자료의 순서가 불규칙해서 연결 관계가 복잡한 구조 길벗알앤디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 1권 핵심요약, 길벗(2019), p 45. 2021. 5. 22.
038 트랜잭션 ( Transaction ) 트랜잭션 ( Transaction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한다.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접근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실행되는 동작 또는 동작들의 모임이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복구 및 병행 수행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이다. Atomicity (원자성) · 트랜잭션의 연산은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든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함 · 트랜잭션 내의 모든 명령은 반드시 완벽히 수행되어야 하며, 모두가 완벽히 수행되지 않고 어느 하나라도 에러가 발생하면 트랜잭션 전부가 취소되어야 함 Consistency (일관성) · 트랜잭션이 그 실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2021. 5. 22.
037 시스템 카탈로그 ( System Catalog ) 시스템 카탈로그 ( System Catalog ) 시스템 그 자체에 관련이 있는 다양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모든 데이터 객체에 대한 정의나 명세에 관한 정보를 유지관리하는 시스템 테이블이다. 데이터 정의어의 결과로 구성되는 기본 테이블, 뷰, 인덱스, 패키지, 접근 권한 등의 데이터베이스 구조 및 통계 정보를 저장한다. 카탈로그들이 생성되면 자료 사전( Data Dictionary )에 저장되기 때문에 좁은 의미로는 카탈로그를 자료 사전이라고도 한다. 카탈로그에 저장된 정보를 메타 데이터( Meta-Data )라고 한다. ​ 시스템 카탈로그의 특징 카탈로그 자체도 시스템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 이용자도 SQL을 이용하여 내용을 검색해 볼 수 .. 2021.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