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규화2

030 정규화 과정 정규화 과정 함수적 종속 관계 릴레이션이 ( 학번, 이름, 과목명 )으로 되어 있을 때, '학번'이 결정되면 '과목명'에 상관없이 '학번'에는 항상 같은 이름이 대응된다. '학번'에 따라 '이름'이 결정될 때 '이름'을 '학번'에 함수 종속적이라고 하며 '학번 → 이름'과 같이 쓴다. ​ 완전 함수적 종속 관계 속성 A가ㅣ 다른 속성들의 집합 B 전체에 대해서 함수적 종속 관계를 갖지만 집합 B의 진부분집합에 대해서는 종속 관계를 갖지 않으면, 속성 A는 집합 B의 속성들에 대해 완전 함수적 종속 관계에 있다고 한다. ex. 릴레이션이 ( 학번, 과목명, 성적 )으로 되어 있을 때, '성적'은 ( 학번, 과목명 )에는 함수 종속적이지만, '학번'이나 '과목명'에는 함수 종속이 아니다. ​ 이행적 종속 관.. 2021. 5. 18.
028 정규화( Normalization ) 정규화의 개요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하여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정규형에는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BCNF형, 제4정규형, 제5정규형이 있으며, 차수가 높아질수록 만족시켜야 할 제약 조건이 늘어난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설계 단계와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 정규화의 논리적 처리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정규화의 목적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한다. 어떠한 릴레이션이라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표현 가능하게 만든다.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중복을 배제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데이터 삽입 시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줄인다. ​.. 2021.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