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산( Divide )법 | 코드 키( K )를 해시표( Hash Table )의 크기보다 큰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소수( Prime, Q )로 나눈 나머지를 홈 주소로 삼는 방식, 즉 h(K) = K mod Q임 |
제곱( Mid-Square )법 | 레코드의 키값( K )을 제곱한 후 그 중간 부분의 값을 홈 주소로 삼는 방식 |
폴딩( Folding )법 ( 접지법 ) |
레코드 키값( K )을 여러 부분으로 나눈 후 각 부분의 합을 더하거나 XOR( 베타적 논리합 )한 값을 홈 주소로 삼는 방식 |
기수( Radix ) 변환법 | 키 숫자의 진수를 다른 진수로 변환시켜 주고 크기를 초과한 높은 자릿수는 절단하고, 이를 다시 주소 범위에 맞게 조정하는 방식 |
대수적 코딩 ( Algebraic Coding )법 |
키값을 이루고 있는 각 자리의 비트수를 한 다항식의 계수로 간주하고, 이 다항식을 해시표의 크기에 의해 정의된 다항식으로 나누어 얻은 나머지 다항식의 계수를 홈 주소로 삼는 방식 |
계수 분석 ( Digit Analysis )법 ( 숫자 분석법 ) |
주어진 모든 키 값들에서 키값을 이루는 숫자의 분포를 분석하여 비교적 고른 자리를 필요한 만큼 택해서 홈 주소로 삼는 방식 |
무작위( Random )법 | 난수( Random Number )를 발생시켜 나온 값을 홈 주소로 삼는 방식 |
길벗알앤디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 1권 핵심요약, 길벗(2019), p 57.
반응형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공부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4 색인 순차 파일 ( Indexed Sequential File ) (0) | 2021.06.10 |
---|---|
053 순차 파일 ( Sequential File ) = 순서 파일 (0) | 2021.06.10 |
051 해싱 ( Hashing ) (0) | 2021.06.08 |
049 주요 정렬 알고리즘의 이해 (0) | 2021.06.07 |
048 정렬 ( Sort ) (0) | 2021.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