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이란?
정렬( Sort )은 파일을 구성하는 각 레코드들을 특정 키 항목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Ascending ) 또는 내림차순( Descending )으로 재배열하는 작업이고, 이 과정을 Sorting이라 한다.
내부 정렬
- 소량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만 기억시켜서 정렬하는 방식이다.
- 종류 : 히프 정렬, 삽입 정렬, 버블 정렬, 셀 정렬, 선택 정렬, 퀵 정렬, 2-Way Merge 정렬, 기수 정렬( = Radix Sort )
외부 정렬
- 대량의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에 기억시켜서 정렬하는 방식으로, 대부분 병합 정렬( Merge Sort ) 기법으로 처리한다.
- 종류 : 밸런스 병합 정렬, 케스캐이드 병합 정렬, 폴리파즈 병합 정렬, 오실레이팅 병합 정렬
정렬 알고리즘 선택 시 고려 사항
- 데이터의 양
- 초기 데이터의 배열 상태
- 키 값들의 분포 상태
- 소요공간 및 작업시간
- 사용 컴퓨터 시스템의 특성
길벗알앤디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 1권 핵심요약, 길벗(2019), p 53.
반응형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공부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1 해싱 ( Hashing ) (0) | 2021.06.08 |
---|---|
049 주요 정렬 알고리즘의 이해 (0) | 2021.06.07 |
047 수식의 표기법 (0) | 2021.06.07 |
046 이진 트리의 운행법 (0) | 2021.06.06 |
045 트리 ( Tree ) (0) | 2021.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