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적 설계 ( 정보 모델링, 개념화 )
- 정보의 구조를 얻기 위하여 현실 세계의 무한성과 계속성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통신하기 위하여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이다.
- 개념 스키마 모델링과 트랜잭션 모델링을 병행하여 수행한다.
- 요구 분석 단계에서 나온 결과( 요구 조건 명세 )를 DBMS에 독립적인 E-R 다이어그램( 개체 관계도 )으로 작성한다.
- DBMS에 독립적인 개념 스키마를 설계한다.
논리적 설계 ( 데이터 모델링 )
-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자료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해 특정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인 자료 구조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 개념 세계의 데이터를 필드로 기술된 데이터 타입과 이 데이터 타입들 간의 관계로 표현되는 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모델화 한다.
- 개념적 설계가 개념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라면 논리적 설계에서는 개념 스키마를 평가 및 정제하고 DBMS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적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이다.
- 트랜잭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면 테이블을 설계하는 단계이다.
물리적 설계 ( 데이터 구조화 )
-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응용에 대해 처리 성능을 얻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저장 구조 및 액세스 경로를 결정한다.
- 저장 레코드의 형식, 순서, 접근 경로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는 방법을 묘사한다.
- 물리적 설계 단계에 꼭 포함되어야 할 것은 저장 레코드의 양식 설계, 레코드 집중( Record Clustering )의 분석 및 설계, 접근 경로 설계 등이 있다.
-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기본적인 데이터 단위는 저장 레코드( Stored Record )이다.
-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여러 가지 타입의 저장 레코드 집합이라는 면에서 단순한 파일과 다르다.
-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 물리적 설계 옵션 선택 시 고려 사항
- 반응 시간( Response Time ) : 트랜잭션 수행을 요구한 시점부터 처리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경과(응답) 시간
- 공간 활용도( Space Utilization ) : 데이터베이스 파일과 액세스 경로 구조에 의해 사용되는 저장 공간의 양
- 트랜잭션 처리량( Transaction Throughput ) : 단위 시간 동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트랜잭션의 평균 개수
길벗알앤디 (강윤석, 김용갑, 김우경), 정보처리 산업기사 필기 1권 핵심요약, 길벗(2019), p 27-28.
반응형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공부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0 파일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Relation 구조 시스템 (0) | 2021.05.14 |
---|---|
019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0) | 2021.05.14 |
017 망( 그래프, 네트워크 )형 데이터 모델 (0) | 2021.05.14 |
016 계층형 데이터 모델 (0) | 2021.05.14 |
015 E-R 다이어그램 (0) | 2021.05.12 |
댓글